강우량(Rainfall, Raingauge)
강우량은 특정 기간 동안 1평방 미터에 수집된 비의 양으로 측정한다.
보통 그릇에 빗물을 받아서 그 빗물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작동방법
양쪽하단의 클립을 누르고 분해를 하면 내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이 우량계는 기본적으로 빗물을 채우고 비우는 티핑 버킷방식이다.
빗물이 수집되어 내부의 빗물수집기에 모이게 된다.
충분한 양이 수집되면 수집된빗물이 시소모양의 양동이에서 넘어져 바닥으로 흘러나가고, 반대쪽 양동이에 물이 수집된다.
제품의 데이터시에서보면 0.0011"(0.2794mm)의 비의 양이 수집기의 양이라는 것을 알수 있다.
강수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수집기의 양에 넘처 흐른 회수를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시소형태의 수집기 중앙에서 벽쪽으로 보면 작은 원통형의 자석이 붙어 있다.
버킷 옆의 사각형 구조물 안에는 리드 스위치가 설치 되어 있어서 버킷의 움직임을 계산 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버킷 중 하나가 끝나면(물이 가득차 넘치면) 자석이 리드 스위치를 지나면서 스위치가 잠시 폐회로를 구성한다.
이 폐회로의 횟수를 이용하여 강우량을 계산 할 수 있는 것이다.
Raspberry Pi Sample code
두개의 라인중 하나는 GND에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는 라즈베리파이의 GPIO 6번 핀에 연결한다.
from gpiozero import DigitalInputDevice rain_sensor = DigitalInputDevice(6) BUCKET_SIZE = 0.2794 count = 0 def bucket_tipped(): global count count = count + 1 print (count * BUCKET_SIZE) rain_sensor.when_activated = bucket_tipped |
'센서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BME280 온도/습도/기압/고도 (0) | 2019.03.20 |
---|---|
Wind Direction(weather station) (0) | 2019.03.19 |
Wind Speed(weather Station) (0) | 2019.03.19 |
Reed Switch (0) | 2019.03.19 |